본문 바로가기
식품-허브

혈당과 중성지방 수치가 ‘뇌 건강’을 말해준다고?

by 숏다리영감 2025. 4. 13.
반응형

혈액 속 대사 지표(TyG index)가 신경세포 손상(sNfL)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혈액 속 당과 지방 수치로, 뇌가 망가지는 걸 미리 알 수 있다면 어떨까?"  


2025년 4월, PLOS ONE에 실린 한 연구는 이 물음에 실제로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었다. 연구진은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 데이터를 바탕으로, ‘트리글리세라이드-글루코스 지수(TyG index)’와 ‘혈청 뉴로필라멘트 경쇄(sNfL)’라는 신경손상 지표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는 놀라울 정도로 명확했다.



혈당과 중성지방, 그리고 뇌세포

TyG 지수는 이름 그대로 혈중 중성지방(triglyceride)과 공복혈당(glucose)을 곱한 값을 로그로 변환해 만든 지표다. 이 수치는 체내 인슐린 저항성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대사 지표로 알려져 있다. 반면 sNfL은 신경세포의 축삭 손상이 있을 때 혈액에 방출되는 단백질로, 최근 들어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바이오마커로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대사 상태를 보여주는 TyG와, 신경 손상을 나타내는 sNfL 간에 어떤 연결이 있을까?



데이터 2,029명 분석해보니… "둘 사이엔 상관관계가 있다!"

연구진은 NHANES 2013–2014년도 데이터를 이용해, 총 2,029명의 성인 참가자를 분석했다. 이들은 기존 신경질환 병력이 없는 일반 인구였으며, 혈액 검사에서 TyG 지수와 sNfL 수치를 측정했다.

그 결과, TyG 지수가 높을수록 sNfL 수치도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TyG 지수가 9.63 이상이 되면, sNfL 수치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비선형 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는 일정 수준 이상의 인슐린 저항성이 뇌세포 손상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강력한 신호로 해석된다.

반응형



인슐린 저항성, 신경세포도 공격한다?

그렇다면 왜 인슐린 저항성이 신경 손상과 관련 있을까? 연구진은 여러 가능성을 제시했다:

- 만성 염증: 인슐린 저항은 저강도 만성 염증을 유발하고, 이 염증이 뇌세포에 악영향을 준다.
- 산화 스트레스: 대사 이상은 활성산소를 증가시켜 신경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다.
- 혈관 기능 저하: 혈류 저하와 미세혈관 손상이 뇌에 산소와 영양 공급을 방해한다.
- 혈액-뇌 장벽(BBB) 손상: 인슐린 저항은 BBB를 약화시켜 외부 독소가 뇌에 침투하게 만든다.

이렇게 다양한 기전이 종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인슐린 저항이 뇌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핵심 메시지다.

 


"대사 상태만 봐도, 뇌 건강을 예측할 수 있다"

중요한 건 이 연구가 특정 질환이 아닌,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이다. 즉, 우리가 흔히 받는 건강검진에서 측정하는 혈당, 중성지방 수치만으로도 뇌신경 손상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는 뜻이다.

특히 TyG 지수가 9.63을 넘는다면, 그 시점부터는 신경세포 손상의 위험이 급증할 수 있다. 조기에 인슐린 저항을 개선하거나 식습관, 운동 등 생활 습관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는 강력한 경고다.



조기 발견, 조기 개입… 뇌를 지키는 첫걸음

이번 연구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전략에도 시사점을 준다. 아직 뇌에 명확한 증상이 나타나기 전, 혈액 속 TyG 수치만으로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면? 조기에 개입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는 생활 습관 개선, 식이요법, 약물 치료 등은 모두 가능한 대응책이다. 그리고 앞으로 sNfL 같은 신경 손상 지표가 정기 건강검진에 포함된다면, 더 많은 사람의 뇌 건강을 지킬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

출처 논문  


- 트리글리세라이드-글루코스 지수와 혈청 뉴로필라멘트 경쇄의 상관관계: NHANES 2013–2014 데이터 기반 분석  
-  The relationship between triglyceride-glucose index and serum neurofilament light chain: Findings from NHANES 2013–2014  (Creative Commons)
- 저자: Tong Chen (중국 허난대학교) 외 3인  
- 발행 일자: 2025년 4월 10일  
- 저널의 이름: PLOS ONE

반응형